연금저축펀드 IRP

오늘은 연금저축펀드와 IRP를 비교하여 설명하고자 합니다.

 

그동안 편의상 연금펀드라고 설명을 드렸는데

금융권에서 일하는 지인께서

정식명칭은 '연금저축펀드' 라고 알려주셨어요

 

그래서 2글자 더해서 쓰는 것이 조금 귀찮지만^^;

연금저축펀드라는 명칭을 사용하려고 합니다.

 

연금저축펀드에 관한 것은

제가 이전에 포스팅한 글을 참고해주시구요.

2021/01/05 - [유익한 정보] - 연금펀드 장점 및 수익률 공개

 

연금펀드 장점 및 수익률 공개

연금펀드 장점 및 수익률 공개를 포스팅하려고 합니다. 연금펀드는 보통 연금저축펀드라고도 많이들 이야기 하는데 편의상 '연금펀드'로 말하겠습니다. 1. 연금펀드 장점 가. 내 돈 거의 그대로

walking-together.tistory.com

IRP는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약자로

'개인형 퇴직 연금' 즉, 개인이 은퇴하고 받는 연금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.

 

1. 목적은 같지만, 태생이 다르다.

연금저축펀드와 IRP는 은퇴 후 개인연금 마련을 위해 만들어진 상품이라는 목적성도 같고

운용되는 방식도 거의 똑같지만

연금저축펀는 '자본시장법'을 따르고, IRP는 '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'을 따른다는데에

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.

 

2. 가입 대상

: 연금저축펀드는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.

그래서 태어난 아이의 이름으로 계좌를 만들어 두었다가 성인이 되었을 때에 선물로 주는 것도

개인적으로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.

 

: IRP는 소득이 있는 사람에 한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.

소득이 있는 상태에서 가입하고, 소득이 없을 때는 납입을 중지했다가

다시 소득이 생길 때 이어서 하면 됩니다.

 

3. 저축할 수 있는 한도 및 세액공제 한도를 공유한다.

: 연금저축펀드 + IRP = 연간 1,800만원 한도까지 저축할 수 있습니다.

좋은 상품이라고 한도 없이 무조건 많은 금액을 넣을 수는 없습니다.

 

연금저축펀드에 500만원, IRP에 1,300만원 할 수도 있고

연금저축펀드에 1,000만원, IRP에 800만원을 넣어도 된다는 얘기지요.

 

: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둘 다 세액공제의 혜택이 큰데

연금저축펀드와 IRP를 합한 금액이 연간 700만원 한도 내에서

연금저축펀드만 했을 때는 400만원 한도 내에서

16.5%(총 소득 5,500만원 이하)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** 총 소득 5,500만원 초과의 경우는 13.2% 적용 **

 

예를 들어

연금저축펀드에 500만원 + IRP에 1,000만원을 저축했다면

위 기준을 적용했을 때

연금저축펀드는 400만원을, IRP는 300만원 해서 총 700만원

700만원 X 16.5% = 115만 5천원을 세액공제!

115만 5천원에 해당하는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.

 

4. 상품 선택

: 연금저축펀드는 펀드와 ETF에서 고를 수 있고

IRP는 예금, 채권, 펀드, ETF 등 조금 더 다양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 

연금저축펀드는 주식형자산으로 100%까지 구성할 수 있고

IRP는 주식형자산을 70%까지만 구성할 수 있고,

나머지 30%는 예금이나 채권 등 안전한 자산으로 담아야 한다는 점이 다릅니다.

 

그래서 조금 더 공격적인 투자를 하기 원하는 분들은 연금저축펀드를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.

개인적인 생각으로 2,30대 이제 막 사회 생활을 시작하는 분들은

앞으로 은퇴까지 2,30년 정도 긴 사회생활을 할 것이기 때문에

연금저축펀드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.

저의 경우도 연금저축펀드로 가입을 했고, IRP는 안하고 있습니다. 

 

젊으신 분들은연금저축펀드와 IRP 상품, 각각의 장단점을 살펴보시고작은 금액이더라도 일찍 시작하시라고 추천드리면서포스팅을 마칩니다.

 

도움이 되셨다면

구독, 하트, 댓글 부탁드립니다.

감사합니다.^^

 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